MQTT (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 요약 설명

·1999년 정유 및 가스 산업에서 최소한의 대역폭과 최소한의 배터리 손실을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위성을 통해 정유 파이프라인을 모니터링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2010년 IBM에서 MQTT 3.1을 모든 사용자가 구현할 수 있는 개방형 무료 프로토콜로 발표하였습니다.
·2016년 ISO 표준 (ISO/IEC PRF 20922)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기기간 통신에 사용되는 표준 기반 메시징 프로토콜입니다. 경량의 발행-구독 (Publish-Subscribe) 구조로 되어 있으며, 원격 위치에 있는 장치들이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전통적인 네트워크 통신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서로 직접 통신합니다. MQTT는 메시지 발신자(게시자)와 수신자(구독자)를 분리하고, 브로커라고 하는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시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필터링하고, 구독자에게 배포하는 통신을 처리합니다.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하며, 품질 측면에서는 다양한 수준의 QoS(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합니다

IoT(Internet of Things) 및 M2M(Machine-to-Machine) 통신에서는 낮은 대역폭과 효율적인 네트워크 리소스를 사용합니다. 또한 신속한 메시지 전달고정된 연결 없이도 메시지를 발행하고 수신하는 데 사용됩니다.


· 특징

가볍고 효율적임 (Lightweight and Efficient) 헤더가 작게는 2바이트일 정도로 리소스를 매우 적게 요구합니다.

신뢰성 (Reliable Message Delivery)

양방향 통신(Bi-directional Communications)
RESTful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발신자와 수신자간의 요청-응답 패턴 통신을 합니다.

Support for Unreliable Networks

Scale to Millions of Things

보안 (Security Enabled)
SS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IoT 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SSL 인증서와 암호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와 브로커간 ID, 인증 및 권한 부여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참고 자료


· 적용 사례

·Facebook Messenger

·ZettaLink



· 발행-구독 (Publish-Subscribe) 구조
MQTT.org
mqtt.org
· 응용 분야

·농업분야에서는 토양 수분, 온도, 습도등의 환경 요인을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는 엔드-투-엔드 제조 공정을 모니터링하여 일관된 품질을 보장하고 생산체인의 문제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Automotive

Logistics

Manufacturing

Smart Home

Consumer Products

Transportation